충북대신문방송사 충북대신문 The Chungbuk Times 교육방송국
전체기사종합취업대학사회광장사람특집문화동영상뉴스포토&만평학술현상공모전문학
최종편집 : 2025.03.10 월 16:54
종합
종합 섹션
확대축소프린트
 고지민
험난했던 통합대학 교명, ‘충북대학교’로 결정
제 984 호    발행일 : 2024.12.02 
1.jpg
▲ 지난 11월 25일 열린 '통합신청서 보완 내용 설명회'에서 고창섭 총장이 참석자들의 질의에 응답하고 있다.


  지난 11월 26일,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이하 교통대)와 통합 후 사용할 통합대학 교명 선정 투표가 우리 학교에 진행됐다. 보완통합신청서 교육부 제출을 앞두고 투표는 당초 교통대와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하루 전 교통대가 통합 핵심 쟁점이 합의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돌연 연기를 선언해 우리 학교에서만 교명 후보인 ▲국립한국교통대 ▲충북대 ▲글로컬충북대 ▲한국국립대를 놓고 전자투표를 진행했으며, 개표는 교통대가 교명 선정 투표를 진행한 이후로 연기했다.
  그러다 11월 28일 오후, 우리 학교와 교통대는 통합 핵심 쟁점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공개된 합의안의 내용은 ▲통합대학 교명은 합의한 교명 선정 투표 결과에 따르고 ▲통합 대학본부는 청주 개신캠퍼스에 ▲대학원 본부는 증평캠퍼스에 ▲산학협력단 본부와 균형발전추진센터는 충주캠퍼스에 두기로 했으며 ▲통합대학 총장은 두 대학 동수로 구성된 총장추천위원회에서 1명을 임명하고, 1명의 캠퍼스 총장을 통합대학 총장이 임명하기로 했다. 또한 가장 첨예했던 ▲유사중복학과 통폐합 문제는 교통대의 9개 학과가 청주 개신캠퍼스로 이동하고 교통대의 감소한 정원은 충주캠퍼스의 첨단학과 신설과 순증으로 만회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교통대는 지난 11월 29일 보완통합신청서 제출 찬반과 통합대학 교명 선정 투표를 동시에 진행했다. 이후 먼저 진행한 우리 학교 투표와 합쳐 개표한 결과 ‘충북대학교’가 최다 득표율(311.19%)로 통합대학 교명 1순위로 확정됐다.
  통합대학 교명이 결정되기까지는 말 그대로 험난한 과정이었다. 지난 6월 18일 개최된 ‘제5차 교명선정위원회’에서 양 대학은 기존 교명 1개를 포함한 신규 교명 2개를 제출했고, 투표일을  9월로 정했다. 그러나 그 후 3개월 동안 추가 회의가 없다가 9월 26일 개최된 회의에서 교통대가 제시한 ‘한국국립대학교’가 현실적으로 확정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논의는 지지부진해졌다. 결국 보완통합신청서 교육부 제출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양 대학은 교명 투표에 재합의했다.
  우리 학교 ‘개화’ 총학생회에 따르면 투표 결과 산출 방법은 논쟁 끝에 양 대학의 교수, 직원, 학생별로 ‘선거인 수 대비 득표율’을 내고, 그것을 합해 수치가 높은 후보를 교명으로 정하기로 했다. 총선거인 수 15,676명으로 8,617명인 교통대보다 7,059명이 많은 우리 학교 구성원의 한 표 무게가 교통대의 절반인 셈이었다. 개화 총학생회 안채환(경영정보학과·19) 회장은 “교통대에서는 전체 구성원인 선거인단을 기준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우리 학교에서는 전체 구성원이 아닌 투표 인원을 기준으로 결과를 판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하지만 지난해 양 대학이 합의한 통합 원칙 중 등가와 동수로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이 크게 작용해 양 대학의 반영 비율을 1:1로 두기 위해 현재의 산출 방법으로 확정됐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교명선정위원회 학생위원으로 참가해 인원이 많은 우리 학교의 학생들은 한 표가 동일한 무게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표의 가치와 관련해 피해를 보게 된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고지민 기자
ziminimin@chungbuk.ac.kr
목록보기
최근기사
계엄에 두려움 없이 맞서다
관세 폭탄: 위기의 대학민국?
1년 넘긴 의정 갈등, 우리 학교 의대는?
문사철 이수 기준 폐지 됐나요?
생협 문구점, 새롭게 알파문구로 변신
종합 More
<이름의 기술>, 제목을 곱씹어보다
새내기들의 웃음으로 가득했던 날
벚꽃을 넘어, 산책과 스포츠로 무심천을 즐기다
새로 생긴 ‘주거안정장학금’, 알아?
생협 문구점, 새롭게 알파문구로 변신
문사철 이수 기준 폐지 됐나요?
1년 넘긴 의정 갈등, 우리 학교 의대는?
창문학동인회, 낙엽제에서 60주년 기념 문집 발간
인류세 시대를 살아간다는 것, 최평순 PD 강연회
학생들의 계절학기 불만, 해결할 수 있을까?
전체기사 종합
취업
대학
사회
광장
사람
특집
문화
동영상뉴스
포토&만평
학술
현상공모전
문학
동영상뉴스
수습기자모집
PDF자료실
지난호보기
신문사 소개 기사제보 독자참여 개인정보 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28644 충북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1, 충북대학교 신문방송사(발행인 : 고창섭 | 주간 : 구본상)

행정실 : 043-261-2934    충북대신문 : 043-261-2936    The Chungbuk Times : 043-261-2935    교육방송국 : 043-261-2953

Copyright ⓒ 2008 충북대학교 신문방송사, All rights reserved.